정적 웹 프로그래밍 정적 웹 프로그래밍 : 아파치와 같은 웹 서버를 이용해서 웹 페이지들을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방식. 클라이언트 요청이 오면 응답으로 정적인 파일들(HTML, CSS, JS)을 전송한다. 정적 파일들은 사용자 입장에서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요즘과 같은 real time(실시간)으로 변동이 생기는 홈페이지에는 부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정적 웹 프로그래밍의 여러 가지 구성 요소에 대해서 알아보자. 웹 서버 : 각 클라이언트에게 정적인 데이터만 서비스하는 컴퓨터를 의미한다. 클라이언트 : 네트워크로 서버에 접속한 후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컴퓨터를 의미한다. HTTP Protocol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www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규약을 ..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표준화 소스 구조를 웹 애플리케이션 모델이라고 한다. 웹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는 모델 1과 모델 2 방식이 있다. 모델 1 방식은 현대 개발 업계에서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이 글에서 다루지 않는다. 모델 2는 지금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MVC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 MVC 패턴에 대해 알아보자. MVC 패턴 Model - View - Controller의 약자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화면 부분, 요청 처리 부분, 로직 처리 부분으로 나누어 개발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MVC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다. 각 기능이 분리되어 있어 개발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각 기능의 재사용성이 높아진다. 디자이너와 개발자의 작업을 분업화해서 쉽게 개발할 수 있다. Model : 비즈니스 영역(데..
✅ 서블릿 웹 프로젝트 생성(feat. Eclipse) File ➡️ New ➡️ Dynamic Web Project 버전을 확인해주는 것은 중요하다. Dynamic WebModule 4.0 버전은 Java 1.8 버전 이상과 Servlet API 4.0, Tomcat 9 버전 이상이 필요하다. 설정할 것이 따로 없다. 넘기도록 하자. Content Root(= Content Path) : 기본적으로 프로젝트의 이름이 설정 되어 있다. Content directory : WebCotent 디렉토리 내에 WEB-INF와 META-INF가 생성되며, WebContent 내에 정적 소스 파일들(html, jsp, image, etc)이 저장 된다. 기본 프로젝트가 생성되었다. 프로젝트 내에 있는 것들에 대해서..
✅ JAVA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개발하여 1996년 1월에 공식적으로 발표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특징 운영체제에 독립적이다. 어느 운영체제 혹은 하드웨어인지에 상관 없이 JVM이 있는 환경이라면 실행이 가능하다. 객체지향언어이다. 상속, 캡슐화, 다형성이 잘 적용 되었다. 자동 메모리 관리 가비지컬렉터가 자동적으로 메모리를 관리한다. 네트워크와 분산처리 지원 멀티쓰레드 지원 동적 로딩을 지원 자바 프로그램 실행 시에 모든 클래스가 로딩되지 않고 필요한 시점에 클래스를 로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부 클래스가 변경되어도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컴파일하지 않아도 되며, 애플리케이션의 변경사항이 발생해도 비교적 적은 작업만으로도 처리할 수 있는 유연한 애플리캐션을 작성할 수 J있다. ✅ JDK..
1. instanceof 연산자 활용 자주 사용하는 방식으로 왼쪽의 객체가 오른쪽에 있는 클래스 또는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인지 확인하는 데 사용한다. String str = new String("Hi"); if (str instanceof String){ System.out.println("Nice to meet you."); } else { System.out.println("oh, Sorry. I've got to go now."); } 2. getClass() 메소드 사용 getClass() 메소드를 통해 사용하는 것은 정확한 클래스를 반환하므로 서브클래스와 슈퍼클래스를 구별할 수 있다. String str = new String("Hi"); if (str.getClass() == String.c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