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게된 계기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로그인을 어떤 식으로 구현하면 좋을지 계속해서 고민 중이었다. 내가 고려하고 있던 것은 spring security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JWT 방식의 로그인과 OAuth2 방식의 소셜 로그인이다. 개발시간을 단축시키고자 자체 회원가입과 로그인은 제외하고, OAuth2 방식을 선택하려고 하였으나 OAuth2 방식의 이중통신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https://youtu.be/-2Gm_JKK7yo?si=1bumSN1IMTyUwPUc그러다 우연히 메타코딩님의 아래 유튜브 영상으로 이 글의 주제인 OIDC를 알게 되었다. 솔직히 방금 영상을 다 보고, OIDC 방식이 마음에 들어서 기록하고자 블로그를 켰다. 평소에는 노션에 남기는데, 이 주제는 블로그에 기록으로 남겨두고 ..
GC 로깅 + Eclipse MATGC 로그로 메모리 누수 의심 구간을 식별.힙 덤프를 Eclipse MAT로 분석하여 누수 원인을 확인. JVisualVM초기 분석 단계에서 간단하고 빠르게 메모리 사용량 및 누수 여부 확인. APM 도구프로덕션 환경에서 실시간 메모리 이상 패턴 모니터링. SpotBugs 또는 SonarQube코드에서 잠재적인 메모리 누수 원인을 사전에 방지. 아직 메모리누수를 어떻게 처리하는지, 왜 발생하는지 등에 대해서도 알지 못한다. 그래서 발생원인부터 해결방법까지 알아보려고 한다.
httpd.conf 설정아파치에서 중요한 것은 설정 파일을 다루는 것입니다. 설정 파일에서 어느 지시자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수행되지를 이해하고 적응해야 합니다. 우선 설정 파일은 httpd.conf 파일이다. 이 파일의 경로는 /etc/httpd/conf/httpd.conf 입니다. vi를 통해 httpd 설정 파일을 엽니다. 지시자(Directives)ServerRoot아파치가 설치된 위치를 나타냅니다. 아파치 디렉토리를 옮기는 경우가 아니라면 변경할 필요가 없습니다.일반적으로 하위 디렉토리 conf와 logs를 포함한다고 합니다. Listen특정 IP 또는 특정 Port에서 들어온 요청만 처리하도록 합니다.기본적으로 80 포트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아래처럼 여러 Listen을 정의할 수 있고, IP..
설치환경OS : Rocky Linux 9 miniMemory : 2GBHDD : 20GBssh connection tool : mobaXterm이 글에서는 아파치를 Rocky Linux 9에서 구동해보고자 한다. 아파치 버전은 2.4.57이다.설치는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서 쉽게 할 수 있다.dnf install -y httpd 버전 확인httpd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httpd -v 설치 경로아파치의 기본 설치 경로는 /etc/httpd이다. 작동방식아파치는 서버가 동작하면 기초적인 작업을 마친 후, 설정파일에서 기본 설정값으로 지정된 80 포트로 들어오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기다리고 요청에 대한 필요한 데이터를 응답한다. 구동 방법아파치 구동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systemctl (서비스 관리 ..
정적 페이지(Static Pages)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서버에서의 어떤 처리 없이 보여줄 수 있는 페이지. Ex) html, css, javacript, image, video, txt file 등 동적 페이지(Dynamic Pages)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서버가 작업을 수해하고 해당 결과를 포함한 파일을 보여주는 페이지. 웹 서버(Web Server)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정적인 콘텐츠를 HTTP 프로토콜을 통하여 제공해주는 서버. 위에서 언급한 정적 페이지를 보냅니다. 다른 역할으로는 동적인 요청이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오면, 해당 요청을 컨테이너로 보내는 역할 수행. Ex) Apache, Nginx, IIS 참고 [WEB] 🌐 웹 서비스 구조 (Web서버 / 웹컨테이너 / WAS) 정리S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