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Linux] /etc/passwd

2024. 4. 23. 21:57
목차
  1. /etc/passwd

/etc/passwd

리눅스에서는 모든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보관하는 곳이다. passwd라는 글자가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만, 예전에 UNIX에서는 실제로 /etc/passwd에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저장했는데, 이제는 이 필드에 문자 하나만 있다. 비밀번호는 /etc/shadow 파일에서 따로 관리한다.

 

 

/etc/passwd 파일을 열어보면 아래와 같은 식으로 사용자들의 정보를 저장한다. 각각의 정보들에 대해 콜론(:)으로 구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필드(의 값) 내용
User name 사용자의 계정명을 의미.
Password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를 의미. 'x'는 비밀번호가 설정 되어 있고, '*'은 비밀번호가 없다는 의미.
User ID 사용자의 user id를 의미. 0은 root. 1000은 일반 유저.
Default Groupd ID 사용자의 group id를 의미. 위 User ID와 동일.
GECOS 유저의 full name 또는 별칭이다.
Home directory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나타낸다. 로그인 시 이 디렉토리에 위치한다.
Login shell 사용자의 로그인하고 나서 실행될 shell 프로그램이다. 실제로 실행 파일이다.
실제로 로그인이 필요없는 계정이 있는데, 이 경우에는 로그인 shell이 필요가 없게 된다. 그래서 /dev/null을 설정해서 shell 프로그램을 수행하지 않게 하거나 /usr/sbin/nologin, /bin/true, /bin/false 등으로 shell을 실행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ref

reakwon_linux_note_v1.0.pdf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1. /etc/passwd
seandoesdev
seandoesdev
seandoesdev
To get a Lemonade
seandoesdev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84)
    • My Lemonade (0)
    • Programming (2)
      • C (0)
      • Java (18)
      • Spring | Spring-Boot (13)
      • Python (2)
      • HTML CSS JS (4)
    • Algorithm (8)
    • Git & Github (2)
    • Network (0)
    • Database (9)
      • Oracle (7)
      • MySQL (0)
      • PostgreSQL (0)
    • AI Development (0)
    • Draw my Life (5)
      • Book Review (0)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 Seandoesdev Blog

인기 글

태그

  • dynamic page
  • JPA
  • 단일행함수
  • Apache
  • DI
  • Database
  • oracle
  • 함수
  • 데이터베이스
  • project-euler
  • apachectl
  • 오라클
  • JavaScript
  • 단일행
  • 패키지구조
  • MWAD
  • Linux
  • Java
  • 도메인구조
  • Spring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v4.1.4
seandoesdev
[Linux] /etc/passwd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